납입주기 = 정기납인 약정에 대하여 CMS/신용카드 자동청구를 일시중지하고 싶은 경우, 청구보류기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1. 청구보류기간 설정하기
- [모금관리>약정관리] 화면에서 약정코드를 클릭합니다.
- [납입스케줄 설정]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.
- 청구보류기간 [설정] 버튼을 클릭하고, 보류시작월과 보류종료월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. 보류종료월 미입력 시 무기한 보류로 설정됩니다.
- [적용] 버튼을 클릭하면 납입스케줄 상태가 청구보류로 변경됩니다. 청구보류된 스케줄은 CMS/신용카드 자동청구에서 제외됩니다.
- [납입스케줄 저장] 버튼을 클릭하면 납입스케줄 항목에 "변경사항 저장 필요" 문구가 표시됩니다.
- [약정등록/수정] 화면에서 정보를 저장하면 최종으로 반영됩니다.
Tip: 청구 진행중인 스케줄은 청구보류 상태로 변경되지만 진행 중인 자동청구는 취소되지 않습니다. 만약 해당 자동청구가 실패한다면 청구보류 상태이므로 다음 자동청구에서 제외되니다.
주의: 미납청구 정책이 설정된 기관은 미납청구 기간을 포함하여 청구보류해야 합니다. [청구보류기간 설정] 화면에서 미납청구기간을 포함한 보류시작월이 기본값으로 표시됩니다.
(예: 현재 2019-05이고 전월 1개월에 대하여 미납청구하는 기관은 2019-04부터 보류해야 미납청구가 되지 않음)
(예: 현재 2019-05이고 전월 1개월에 대하여 미납청구하는 기관은 2019-04부터 보류해야 미납청구가 되지 않음)
2. 청구보류기간 조회하기
- [모금관리 > 약정관리] 화면에서 청구보류, 보류시작월, 보류종료월 컬럼을 조회할 수 있으며, 상세검색에서 검색도 가능합니다.
- 청구보류 컬럼은 보류중 / 보류예정 / 공란으로 표시됩니다.
- 보류중: 당월이 청구보류기간에 해당하는 경우
- 보류예정: 당월 이후가 청구보류기간에 해당하는 경우
- 공란: 청구보류기간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이미 경과한 경우
3. 청구보류기간 해제하기
- 청구보류기간 전체 해제를 원할 경우 [청구보류기간 설정] 화면에서 보류시작월, 보류종료월을 입력하지 않고 저장합니다.
- 무기한 보류로 설정했다가 중도에 재개된 경우 보류종료월을 입력하면 이후 기간은 청구보류가 해제됩니다.
예) 청구보류기간을 2019-05 ~ 무기한으로 설정했는데 2019-12까지만 보류하는 것으로 변경하기 원하는 경우, 보류종료월을 2019-12로 변경하여 저장합니다.
Tip: 청구보류기간은 연속된 기간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한 약정에 대하여 청구보류 후 재개했다가 다시 청구보류하여 청구보류기간이 여러 번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 경우 이전 청구보류기간을 최근 청구보류기간으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. 이전 청구보류기간은 청구보류가 해제되나 이미 청구시점이 경과한 기간이므로 자동청구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댓글
댓글 0개
이 문서에는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.